맨위로가기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프랑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LCR)은 1974년 창당되어 2009년 해산된 프랑스의 트로츠키주의 정당이다. 1973년 해산된 공산주의 연맹의 후신으로, 여러 트로츠키주의 경향을 포용했으며 알랭 크리빈, 올리비에 베상스노 등이 주요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LCR은 신자유주의 반대, 반세계화 운동, 반파시즘 운동, 노동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에 참여했으며, 199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 노동자 투쟁당과 연합하여 5명의 의원을 배출했다. 2002년과 2007년 대통령 선거에서 올리비에 베상스노를 후보로 내세워 4%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주목받았고, 2008년 반자본주의 신당(NPA) 창당을 주도하며 2009년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4인터내셔널 - 국제 사회주의자 경향
    국제 사회주의자 경향은 1960년대에 시작된 국제적인 혁명적 사회주의 경향으로, 여러 국가에 단체를 결성하며 성장했지만 1990년대 이후 분열과 통합을 겪었고, 2013년에는 영국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성폭력 스캔들로 위기를 겪었으며, 현재는 여러 계열 및 비동맹 단체가 존재하고 과거 계열 단체 중에는 관계가 없는 곳도 있다.
  • 제4인터내셔널 - 사회주의 좌파
  • 2009년 해산된 정당 - 국가동맹
    국가동맹은 1995년 이탈리아 사회 운동에서 개칭되어 출범한 이탈리아의 우익 정당으로, 전통적 가치, 법과 질서, 이스라엘 지지, 친미 외교, 유럽 통합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으나 2009년 자유의 인민으로 합병되었다.
  • 2009년 해산된 정당 - 전진이탈리아 (1994년)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1994년 창당한 이탈리아의 중도 우파 정당인 전진이탈리아는 부패 스캔들로 혼란했던 이탈리아 정계에서 미디어 그룹을 활용하여 세력을 규합, 총선에서 승리하며 정권을 잡았고, 이후 "자유의 인민"으로 통합되었다가 2013년 재건, 기독교 민주주의, 자유주의, 사회 민주주의 가치를 혼합한 이념을 추구하며 유럽 인민당의 일원이었다.
  • 프랑스의 해산된 정당 - 프랑스 민주연합
    프랑스 민주연합은 1978년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 시절 결성된 중도우파 정당 연합으로, 자유주의적 보수부터 사회자유주의적 중도까지 포괄하며 분열과 재편을 거듭하다 2007년 민주운동 창당으로 사실상 해체되었다.
  • 프랑스의 해산된 정당 - 대중운동연합
    대중운동연합은 2002년 자크 시라크 대통령 지지 세력을 중심으로 결성된 프랑스의 중도 우파 정당으로, 드골주의, 자유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등의 이념을 포괄하며 주요 정치인을 배출했으나, 정권 교체와 당내 분열을 겪고 2015년 공화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프랑스)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약칭LCR
해산일2009년 2월 5일
후신NPA
본부 위치2, rue Richard-Lenoir, 93100 모ント뢰유
색상빨강
국제 조직제4인터내셔널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도자
지도 체제집단 지도 체제 (중앙위원회)
대변인올리비에 브장스노
알랭 크리빈
로잘린 바셰타
이념 및 정치 성향
이념트로츠키즘
정치 성향극좌
조직
유럽 의회유럽 반자본주의 좌파
역사
창립1930년 (재창립: 1974년)
기타

2. 역사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LCR)은 1974년에 창당된 프랑스의 트로츠키주의 정당이다. 이 조직은 1968년 5월 혁명 등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활동했던 공산주의자 동맹(Ligue Communiste, LC)이 1973년 정부에 의해 해산된 후 그 계보를 이어받아 결성되었다. LCR은 공산주의자 동맹의 노선을 계승하면서도 다른 트로츠키주의 흐름을 포용하고자 했다.

창당 이후 LCR은 프랑스 정치 및 사회 운동 영역에서 활동했으며, 알랭 크리빈, 로잘린 바체타, 올리비에 브장스노 등이 주요 대변인으로 활동했다. 특히 2002년2007년 대선에서는 올리비에 브장스노를 후보로 내세우기도 했다. LCR은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대중 운동 조직에 힘썼으며, ATTAC이나 SUD 노조 등 다양한 좌익 단체 활동에도 참여했다.

LCR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다른 좌파 세력과의 연대 문제였다. 특히 같은 트로츠키주의 정당인 노동자 투쟁(Lutte Ouvrière, LO)과는 선거에서 협력하기도 하고 경쟁하기도 했다. 또한 2005년 유럽 헌법 비준 국민투표 당시 '부결' 운동을 함께 벌인 것을 계기로 프랑스 공산당과의 관계 개선 및 연대 가능성도 모색되었다.

2. 1. 창당 이전의 역사 (1930년대~1974년)

소련 공산당 내부에서 이오시프 스탈린 파와 레프 트로츠키 파의 대립 끝에 트로츠키 파가 추방된 것을 배경으로, 1930년 프랑스 공산당에서도 추방된 "좌익 반대파"가 공산주의자 동맹을 결성했다. 1933년 공산주의자 동맹은 트로츠키가 제안한 "가입 전술"에 따라 프랑스 사회당에 합류하여 볼셰비키-레닌주의 그룹을 형성하고, 청년 조직으로 혁명적 사회주의 청년 동맹을 만들었다. 이 시기 프랑스 트로츠키주의자들은 스탈린이 내세운 "사회 파시즘론"에 따라 파시즘의 위협보다 사회당 공격을 우선시하는 프랑스 공산당을 비판하며 "반파시즘 노동자 통일 전선"을 주장했다. 그러나 "가입 전술"에 대한 이견으로 공산주의자 동맹은 분열되었고, 1944년 국제주의 공산당(PCI)으로 다시 통합되었다. 프랑스 트로츠키주의자들은 나치 점령 하에서 독자적인 레지스탕스 활동을 펼쳤으나, 나치뿐 아니라 프랑스 공산당의 무장 세력에게도 공격받아 암살당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전후 1950년대에 다시 "가입 전술" 문제가 제기되었고, 1952년 "가입 전술"에 반대하는 "랑베르 파"(훗날 국제 조직으로 "국제 공산주의 조직-OCI"을 형성했으며, 전 프랑스 총리 리오넬 조스팽이 한때 소속)가 국제주의 공산당(PCI)에서 탈퇴했다. PCI는 프랑스 공산당의 청년 조직인 공산주의 학생 연합(UEC)에 "가입 전술"을 실행하여 혁명적 공산주의 청년(JCR)을 형성했다. JCR은 특히 1968년 5월 혁명 당시 "바리케이드 가두 전투"에서 조직적으로 선두에 서면서 명성을 얻었고, JCR 지도자인 알랭 크리빈과 피에르 뤼세는 지명 수배되었다. 이 5월 혁명에서의 역할 때문에 PCI와 JCR은 1969년 6월 프랑스 정부로부터 해산 명령을 받았다. 이후 JCR과 PCI는 공식적으로 합쳐져 '''공산주의자 동맹'''(LC)을 결성했고, 같은 해 알랭 크리빈은 LC 후보로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1973년 6월 21일, 노동자 파업이나 좌익 세력에 대한 공격을 반복하던 파시즘 조직 오르드 누보(Ordre Nouveau)의 정치 집회에 대해 LC는 헬멧, 쇠 파이프, 체인, 화염병 등으로 무장하고 대규모 습격을 감행했다. 집회 장소를 직접 공격하는 부대 외에도, 5인 1조 그룹을 파리 곳곳에 배치하여 집회로 향하는 오르드 누보 활동가들을 습격하는 등 격렬한 충돌이 벌어졌다. 이 "반파시스트 투쟁"으로 인해 LC는 같은 해 6월 오르드 누보와 함께 당국으로부터 다시 조직 해산 명령을 받았다. 이 해산 명령에 대해 LC를 "트로츠키주의 도발자"라고 비난해 온 프랑스 공산당과 공산당 영향 하의 노동조합총연맹(CGT), 프랑스 사회당, 장 폴 사르트르 등이 일제히 항의 행동을 벌였다. (집회 연단에서 공산당 원로 간부 자크 뒤클로는 "공산당의 이름으로 (해산 명령에 항의한다)"고 연설하여 환호를 받았다.) LC는 형식상 해산 후 즉시 '''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FCR)을 결성했고, 1974년 다시 알랭 크리빈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1974년 5월 FCR은 "군복을 입고 있어도 당신은 역시 노동자다!"라는 슬로건 아래 징집된 병사들의 사회적, 민주적 요구를 담은 "백인의 어필"을 병영 내에 배포하여 순식간에 수천 명 병사들의 지지 서명을 받았다. 곧 수십 개의 병사 위원회가 조직되어 병사들의 "군복 데모"를 조직하기도 했다.

FCR은 1974년 12월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LCR)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LCR은 1970년대 랄자크 NATO 군사 기지 확장 반대 운동(이후 미테랑 사회당 정권이 들어서면서 건설은 중단됨)에 특히 집중했다.

2. 2. LCR 활동 시기 (1974년~2009년)

LCR 소속 시위대가 사유화 반대와 공공서비스 증진을 구호로 내걸고 파업 행진에 나서고 있다


1973년 프랑스 정부에 의해 해산된 공산연맹(LC)의 뒤를 이어, 1974년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LCR)이 창당되었다. 이는 같은 해 결성된 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FCR)이 12월에 명칭을 변경한 것으로, LCR은 공산연맹의 계보를 이으면서도 다른 트로츠키주의 경향의 활동가들도 포용했다.

LCR의 주요 대변인으로는 유럽 의회 의원을 지낸 알랭 크리빈과 로잘린 바체타, 그리고 2002년2007년 대통령 선거 후보였던 올리비에 브장스노 등이 활동했다.

창당 초기인 1970년대에는 랄자크 지역의 NATO 군사 기지 확장 반대 운동을 주도하는 등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기지 건설 계획은 이후 프랑수아 미테랑 사회당 정부 시기에 중단되었다.

LCR은 다른 좌파 세력과의 연대 문제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특히 또 다른 트로츠키주의 정당인 노동자 투쟁(LO)과는 선거에서 연합 후보를 내기도 하고(예: 1999년 유럽 의회 선거, 지방 선거), 때로는 독자 후보를 내기도(예: 2002년, 2007년 대선) 하는 등 협력과 경쟁 관계를 보였다. 1999년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LO와 선거 연합을 구성하여 총 5명의 당선자를 냈으며, LCR 소속으로는 알랭 크리빈과 로잘린 바체타가 선출되었다.

2000년대 들어 LCR은 신자유주의 반대를 주요 기치로 내걸고, 이를 기반으로 한 "반자본주의 좌익 통일 전선" 형성을 주장했다. 우편, 국철, 통신 분야의 노동조합 운동과 실업자 운동 등 대중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반세계화 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ATTAC이나 SUD 노조 등 다양한 좌익 성향의 시민사회 단체들과 협력했다. 이 단체들은 LCR과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가진 회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당시 27세의 우체국 직원이자 노조 활동가였던 올리비에 브장스노를 후보로 내세워 4.2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당시 공산당 후보의 득표율을 넘어서는 결과였으며, 특히 18~24세 청년층에서는 13.9%의 지지를 얻어 자크 시라크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등 젊은 세대의 높은 지지를 확인했다. 이 선거는 극우 정당인 국민전선의 장마리 르 펜 후보가 결선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켰는데, LCR은 결선 투표에서 "오늘은 반 르펜 투표를! 내일부터 반 시라크 투쟁을!"이라는 입장을 내세우며 반(反)르펜 투표와 대규모 반극우 가두 시위를 호소했다. 실제로 1차 투표 이후 프랑스 전역에서 200만 명 이상이 참여하는 반극우 시위가 벌어졌고, LCR은 이 과정에 적극 참여하며 2,000명 이상의 신규 당원을 확보하는 등 조직적으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2005년에는 EU 헌법 비준을 둘러싼 국민투표에서 반(反)신자유주의 입장을 견지하며 '부결' 운동을 주도했다. 당시 사회당 내 다수는 비준 찬성 입장이었고, 공산당은 비준 반대 입장이었으나 운동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LCR은 비준 반대 운동의 선두에 서서 반대파의 승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 공동 캠페인을 계기로 마리조르주 뷔페가 이끄는 프랑스 공산당과의 관계도 개선되었다.

200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도 올리비에 브장스노가 LCR 후보로 출마하여 4.08%를 득표했다.

3. 주요 활동 및 참여 운동

소련 공산당 내 스탈린 파와 트로츠키 파의 대립 끝에 트로츠키 파가 추방되자, 프랑스 공산당에서도 추방된 "좌익 반대파"는 1930년 공산주의자 동맹을 결성했다. 이들은 1933년 트로츠키가 제안한 "가입 전술"에 따라 프랑스 사회당에 가입하여 볼셰비키·레닌주의 그룹과 혁명적 사회주의 청년 동맹을 결성했다. 당시 프랑스 트로츠키주의자들은 스탈린의 "사회 파시즘론"을 비판하며, 프랑스 공산당파시즘의 위협보다 사회당 공격을 우선하는 것을 반대하고 "반파시즘 노동자 통일 전선"을 호소했다. 그러나 "가입 전술"을 둘러싼 내부 이견으로 동맹은 분열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자적인 레지스탕스 활동을 전개하다가 1944년에야 국제주의 공산당(PCI)으로 재통합되었다. 이 시기 이들은 나치뿐 아니라 프랑스 공산당의 무장 세력에게도 공격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전후 1950년대에 다시 "가입 전술"이 제기되자 이에 반대하는 "랑베르 파"(훗날 리오넬 조스팽이 소속되기도 함)가 1952년 PCI에서 탈퇴했다. PCI는 프랑스 공산당의 청년 조직인 공산주의 학생 연합(UEC)에 "가입 전술"을 실행하여 혁명 공산주의 청년(JCR)을 결성했다. JCR은 특히 1968년 파리 5월 혁명 당시 거리 시위 등에서 조직적으로 선두에 서며 큰 주목을 받았고, JCR 지도자 알랭 크리빈과 피에르 뤼세는 지명 수배되기도 했다. 이 역할로 인해 PCI와 JCR은 1969년 6월 프랑스 정부로부터 해산 명령을 받았다.

해산된 JCR과 PCI는 공식적으로 합병하여 '''공산주의자 동맹(LC)'''을 결성했고, 같은 해 알랭 크리빈은 LC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1973년 6월, LC는 노동자 파업 탄압과 좌익 세력 공격을 일삼던 파시스트 조직 Ordre Nouveau|오르드 누보프랑스어의 집회에 대항하여 격렬한 반파시즘 투쟁을 벌였다. 이 사건으로 LC는 다시 정부로부터 조직 해산 명령을 받았으나,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 사회당, 장 폴 사르트르 등 다양한 세력들이 해산 조치에 항의하며 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LC는 형식상 해산 후 즉시 '''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FCR)'''을 결성했고, 1974년 다시 알랭 크리빈을 대통령 후보로 내세웠다.

FCR은 1974년 "군복을 입고 있어도 당신은 역시 노동자다!"라는 구호 아래 징집된 병사들의 권익을 옹호하는 "백인의 어필" 운동을 전개하여 큰 호응을 얻고 병사 위원회 조직과 시위를 이끌었다. FCR은 같은 해 12월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LCR)'''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LCR은 1970년대 프랑스 남부 랄자크 지역의 NATO 군사 기지 확장 계획에 반대하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이 계획은 이후 미테랑 사회당 정부에 의해 중단되었다.

3. 1. 반자본주의 및 신자유주의 반대 운동



LCR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대를 강력하게 내세웠다. 이들은 신자유주의 반대라는 공통점을 기반으로 "반자본주의 좌익 통일 전선"의 형성을 적극적으로 호소했다.[1]

LCR은 다양한 대중 운동에 참여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우편, 국철, 전신 분야의 노동조합 운동과 실업자 운동 등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보였다. 또한, 반세계화 운동에 의식적으로 참여하여 ATTAC과 같은 시민단체 내에서도 활동하며 영향력을 키워나갔다.[1] LCR 활동가들은 좌익 단체인 ATTAC 및 연대 통일 민주주의 노동 조합에서 공개적으로 활동했지만, 이 단체들은 특정 정당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가진 회원들을 포함하고 있었다.[2]

LCR은 독자적인 운동으로 "반 MEDEF(프랑스 재계 연합)·민영화 반대 캠페인"에도 힘을 쏟았다.[1] 이는 공공 서비스의 민영화에 반대하는 LCR의 주요 활동 중 하나였다.

2005년, EU 헌법 비준 여부를 묻는 국민 투표가 실시되었을 때, LCR은 반 신자유주의 입장에서 비준에 반대하는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당시 사회당의 다수는 비준 찬성 입장이었고, 공산당은 비준 반대를 내세웠으나 과거 정부 참여 시절 민영화를 추진했던 전력 때문에 반대 운동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LCR은 정당 세력 중 비준 반대 운동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결과적으로 비준 반대파의 승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

3. 2. 반세계화 운동

LCR은 2000년대 들어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대를 주요 기조로 삼고, 이를 공통분모로 하는 "반자본주의 좌익 통일 전선" 결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LCR은 반세계화 운동에 의식적으로 참여했으며, 특히 ATTAC과 같은 시민단체 내에서 활동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다. LCR 활동가들은 ATTAC이나 연대 통일 민주주의 노동 조합 등에서 공개적으로 활동했으나, 이 단체들은 특정 정당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LCR은 독자적인 운동으로 프랑스 사용자 연맹(MEDEF)에 반대하고 민영화에 반대하는 캠페인에도 주력했다. 대중 운동 차원에서는 우편, 국철, 전신 분야의 노동조합 운동이나 실업자 운동 등에 관여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2005년 EU 헌법 비준 여부를 묻는 국민 투표에서는 반신자유주의 입장을 명확히 하며 비준 반대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당시 프랑스 사회당 내 다수는 비준 찬성 입장이었고, 프랑스 공산당은 비준 반대를 내세웠으나 과거 민영화 추진 경력 등으로 인해 운동 자체에는 다소 소극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LCR은 정당 세력 중 비준 반대 운동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결과적으로 비준 반대파의 승리에 기여했다.

3. 3. 반파시즘 운동

프랑스 공산당에서 추방된 "좌익 반대파"를 중심으로 결성된 공산주의자 동맹은 스탈린이 제창한 "사회 파시즘론"에 따라 파시즘의 위협보다 사회당 공격을 우선시하던 프랑스 공산당을 비판하며, "반파시즘 노동자 통일 전선"을 호소했다. 이는 프랑스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초기 반파시즘 활동의 시작이었다.[1]

제2차 세계 대전나치 점령 하 프랑스에서 트로츠키주의자들은 독자적인 레지스탕스 활동을 펼쳤으나, 나치뿐 아니라 프랑스 공산당의 무장 세력에게 습격당해 암살되기도 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1]

LCR의 전신인 '''공산주의자 동맹(LC)''' 시기, 이들은 파시스트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투쟁을 전개했다. 1973년 6월 21일, 노동자 파업이나 좌파 세력에 대한 습격을 반복하던 파시스트 조직 Ordre Nouveau|오르드 누보프랑스어의 정치 집회에 대해, LC는 헬멧, 쇠 파이프, 체인, 화염병 등으로 무장하고 대규모 무장 습격을 감행했다. 이들은 집회 장소를 직접 공격하는 부대 외에도, 5인 1조의 그룹을 파리 각지에 배치하여 집회로 향하는 오르드 누보 활동가들을 습격하는 등 격렬한 충돌을 벌였다.[1]

이 "반파시스트 투쟁"의 결과로, LC는 같은 해 6월 오르드 누보와 함께 프랑스 당국으로부터 조직 해산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이 해산 명령에 대해서는 LC를 "트로츠키주의 도발자"라고 비난해왔던 프랑스 공산당과 공산당 영향 하의 CGT, 프랑스 사회당, 그리고 지식인 장 폴 사르트르까지 나서 항의 행동을 벌였다. 집회 연단에서 공산당 원로 간부 자크 뒤클로는 "공산당의 이름으로 (해산 명령에 항의한다)"고 연설하여 갈채를 받기도 했다.[1] LC는 형식상 해산한 뒤 즉시 '''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FCR)'''을 결성했고, 이는 1974년 12월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LCR)'''으로 이어졌다.[1]

3. 4. 반제국주의 운동

LCR의 전신인 '''공산주의자 동맹(LC)'''은 파시즘에 맞선 투쟁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73년 6월 21일, 노동자 파업 탄압과 좌익 세력 공격을 일삼던 파시스트 조직 '오르드 누보'(Ordre Nouveau프랑스어)의 정치 집회에 대해, LC는 헬멧, 쇠 파이프 등으로 무장하고 대규모로 대응하여 격렬한 충돌을 벌였다. 이 사건으로 LC는 같은 해 6월, 오르드 누보와 함께 프랑스 정부로부터 조직 해산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해산 조치에 대해 LC를 "트로츠키주의 도발자"라고 비판해왔던 프랑스 공산당공산당 계열 노동조합인 CGT, 프랑스 사회당, 그리고 장 폴 사르트르 등 여러 좌익 세력과 지식인들이 공동으로 항의하며 연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LC는 해산 후 즉시 '''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FCR)'''을 결성했다. FCR은 1974년 "군복을 입고 있어도 당신은 역시 노동자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징집된 병사들의 사회적, 민주적 권리를 요구하는 "백인의 어필"(Appel des cent프랑스어) 문서를 병영 내에 배포했다. 이는 수많은 병사들의 지지를 얻어 병사 위원회가 조직되고 군복을 입은 병사들의 시위로 이어지는 등 군대 내 민주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FCR은 1974년 12월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LCR)'''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LCR은 1970년대 프랑스 남부 랄자크 지역에서 추진되던 NATO 군사 기지 확장 계획에 반대하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이 운동은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으며, 이후 미테랑 사회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기지 확장 계획은 중단되었다.

3. 5. 노동 운동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LCR)은 2000년대 들어 신자유주의 반대를 주요 기치로 내걸고 노동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LCR은 특히 우편, 국철, 전신 분야의 노동조합 운동이나 실업자 운동 등 대중 운동에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또한, 반세계화 운동에도 의식적으로 참여하여 ATTAC 등의 시민단체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LCR 활동가들은 Solidaires Unitaires Démocratiques|연대 통일 민주주의프랑스어 (SUD) 노동조합에서 공개적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SUD 자체는 특정 정당과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LCR은 프랑스 사용자 연맹(MEDEF)에 반대하고 민영화에 반대하는 캠페인에도 주력했는데, 이는 공공 서비스 노동자들의 권익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2002년과 2007년 대통령 선거 후보였던 올리비에 베상스노가 우체국 직원이자 노조 활동가 출신이라는 점도 LCR과 노동 운동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3. 6. 기타 사회 운동



LCR 활동가들은 좌익 성향의 단체인 ATTAC이나 연대 통일 민주주의 노동 조합 등에서도 활동했다. 다만 이들 단체는 특정 정당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가진 회원들이 함께 참여했다.

LCR의 전신 조직들은 여러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공산주의 연맹(LC) 시절인 1973년에는 당시 노동자 파업이나 좌파 세력을 공격하던 파시스트 조직 '오르드 누보'(Ordre Nouveau프랑스어)의 집회에 대항하여 대규모 반파시즘 무장 투쟁을 벌였다. 이 사건으로 LC는 정부로부터 해산 명령을 받았지만,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 사회당, 장 폴 사르트르 등 다양한 세력들이 이에 항의하는 목소리를 냈다.

LC의 모태가 된 혁명 공산주의 청년(JCR)은 1968년 파리 5월 혁명 당시 거리 시위 등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사회적으로 주목받았다.

LC 해산 후 결성된 '''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FCR) 시기인 1974년에는 "군복을 입고 있어도 당신은 역시 노동자다!"라는 구호를 내걸고 징집된 병사들의 권익을 위한 운동을 펼쳤다. "백인의 어필"이라는 문건 배포를 통해 병영 내에서 사회적, 민주적 권리를 요구하며 수천 명의 지지를 얻었고, 병사 위원회를 조직하여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LCR로 이름을 바꾼 후인 1970년대에는 랄자크 지역의 NATO 군사 기지 확장 계획에 반대하는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이 기지 건설 계획은 이후 미테랑 사회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중단되었다.

4. 선거 참여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LCR)은 프랑스의 주요 선거, 특히 대통령 선거와 유럽 의회 선거에 꾸준히 참여하며 급진 좌파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동료 트로츠키주의 정당인 노동자 투쟁(LO) 등 다른 좌파 세력과의 연대 및 선거 연합 구성은 중요한 과제였다. LCR과 LO는 지방 선거나 유럽 의회 선거 등에서 공동 후보를 내기도 했으나, 2002년2007년 대통령 선거처럼 독자적으로 후보를 내는 경우도 있었다.

2002년 대선에서는 LCR 후보 올리비에 베상스노가 상당한 득표를 하며 LCR을 포함한 트로츠키즘 진영 전체가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이 선거의 결선 투표가 우익 후보 자크 시라크와 극우 후보 장마리 르 펜의 대결로 치러지자, LCR은 기권 대신 "르 펜에 갈 표를 최소화하자"는 캠페인을 통해 반(反)르펜 투표를 독려하는 독자적인 입장을 취했다. 2007년 대선에도 베상스노 후보가 다시 출마하여 의미 있는 득표를 기록했다.

유럽 의회 선거에서는 1999년에 노동자 투쟁(LO)과 선거 연합을 통해 의석을 확보하기도 했다.

LCR은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확산되고 기성 정당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는 상황 속에서, 급진 좌파 세력의 선거 연합을 모색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유럽 연합 헌법에 대한 2005년 프랑스 국민투표 당시 '반대' 캠페인을 프랑스 공산당 등과 함께 전개한 이후, 이들과의 연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4. 1. 대통령 선거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LCR)과 그 전신 조직들은 여러 차례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 후보를 내세웠다.

1969년에는 전신인 공산주의자 동맹(LC) 소속으로 알랭 크리빈이 출마하여 1.05% (239,106표)를 득표했다. 1974년에는 조직 해산 후 결성된 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FCR) 소속으로 다시 알랭 크리빈이 출마하여 0.37% (93,990표)를 얻었다.

2002년 대선에서는 LCR 후보로 당시 27세의 우체국 직원이자 노조 활동가였던 올리비에 베상스노가 출마하여 4.24% (1,210,505표)라는 의미 있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프랑스 공산당 후보의 득표율을 처음으로 넘어선 것이었으며, LCR, LO, 노동자당 등 트로츠키즘 세력을 합치면 총 10% 이상의 득표를 기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18세에서 24세 사이의 청년층에서는 베상스노 후보가 13.9%의 지지를 얻어, 자크 시라크 (15.7%)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좌파 정당 후보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결선 투표는 우익 후보인 자크 시라크와 극우 국민전선의 장마리 르 펜 후보 간의 대결로 치러졌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다수의 좌파 진영은 극우파인 르 펜의 당선을 막기 위해 시라크에게 투표할 것을 호소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LCR은 기권을 촉구하는 대신, "르 펜에 갈 표를 최소화하자"는 캠페인을 벌였다. 이 캠페인은 "거리와 투표함에서 르 펜을 물리치자"는 구호 아래 진행되었으나, 당내 소수파는 이것이 사실상 시라크에게 투표하라는 요구와 같다며 반대하기도 했다. 1차 투표 직후 프랑스 전역에서는 르 펜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고, LCR은 이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2,000명 이상의 신규 당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7년 대선에서도 올리비에 베상스노가 다시 LCR 후보로 출마했다. 그는 Nos vies valent plus que leurs profits!|우리들의 삶은 그들의 수익보다 가치가 있다!프랑스어라는 구호를 내걸고, 부의 재분배와 대기업 해고 금지 등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켄 로치 감독이 베상스노 지지 메시지를 보내기도 했다. 베상스노는 1차 투표에서 약 150만 표(4.08%)를 득표하여, 득표율은 소폭 하락했지만 득표수는 2002년보다 약 30만 표 증가했다. 그는 프랑스 공산당의 마리조르주 뷔페(1.9%), 노동자 투쟁의 아를레트 라기예(1.34%), 조제 보베(1.32%) 등 다른 좌파 후보들을 제치고 12명의 후보 중 5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득표율 5%를 넘지 못해 정부로부터 선거 운동 비용 약 80만유로를 보조받지 못했다. 결선 투표가 사회당의 세골렌 루아얄과 우파 니콜라 사르코지의 대결로 확정되자, LCR은 "반 우익" 입장에서 루아얄 후보에게 투표할 것을 호소했다.

=== 역대 대선 결과 ===

연도후보소속 정당득표율득표수
1969년알랭 크리빈공산주의자 동맹 (LC)1.05%239,106표
1974년알랭 크리빈혁명적 공산주의자 전선 (FCR)0.37%93,990표
2002년올리비에 베상스노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LCR)4.24%1,210,505표
2007년올리비에 베상스노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LCR)4.08%1,498,835표


4. 2. 유럽 의회 선거

LCR은 1999년 6월에 실시된 유럽 의회 선거에서 노동자 투쟁(LO)과 선거 연합을 구성하여 총 5명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이 중 LCR 소속으로는 알랭 크리빈과 로슬린 바케타가 유럽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5. 반자본주의신당(NPA) 창당과 LCR 해산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LCR)은 트로츠키주의 세력의 단일한 활동을 목표로 2008년 6월부터 반자본주의신당(NPA,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창당 준비를 주도했다.[2] LCR은 기존의 "트로츠키주의 정당"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반자본주의를 기치로 내걸고 더 넓은 지지를 받는 대중 정당을 건설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표는 2008년 1월에 열린 동맹 대회에서 "새로운 반자본주의 대중 정당 건설" 제안이 대의원 81.2%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채택되면서 공식화되었다.

2008년 11월, LCR 주도로 준비 중이던 "반자본주의 신당"(NPA)은 제2회 전국위원회를 개최하여 조직 형태와 명칭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했다. 당시 NPA에는 이미 400개 이상의 지역 및 부문별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이 중 LCR 당원은 약 3500명으로 파악되었다. LCR은 NPA의 공식 출범에 앞서 해산하고 신당으로 완전히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당초 LCR은 2009년 1월 29일에 해산 총회를 열 계획이었으나, 당시 사르코지 정부의 경제 정책에 반대하는 250만 명 이상이 참여한 대규모 총파업 투쟁으로 인해 일정이 일주일 연기되었다. 마침내 2009년 2월 5일, LCR은 해산 총회를 열고 당원 87.1%의 찬성(반대 11.5%)으로 공식 해산을 결의했다. 이는 LCR이 NPA라는 새로운 정치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한 과정이었다. LCR 창립자 중 한 명인 알랭 크리빈은 "우리는 해산하는 것이 아닙니다. LCR보다 훨씬 더 적합한 도구를 가지고 혁명 투쟁을 계속할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이는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임을 강조했다.[3][4][5]

LCR 해산 다음 날인 2009년 2월 6일부터 결성 총회가 열려 '''반자본주의신당'''(NPA)이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NPA는 구 LCR 회원들뿐만 아니라, 사회당, 프랑스 공산당, 노동자 투쟁 등 기존 좌파 정당에서 이탈한 그룹과 개인들, 그리고 특정 정당에 소속되지 않았던 노동 운동 및 시민 운동 활동가들까지 폭넓게 참여하여 결성되었으며, 창립 총회에서는 NPA가 총 9123명의 당원으로 시작되었음이 보고되었다.

참조

[1] 뉴스 Dissolution officielle de la LCR pour créer le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https://archive.toda[...] Agence France Presse 2009-02-05
[2] 뉴스 Le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d'Olivier Besancenot est lancé http://www.lepoint.f[...] Agence France-Presse 2008-06-29
[3] 뉴스 Dissolution officielle de la LCR pour créer le Nouveau parti anticapitaliste https://archive.toda[...] Agence France Presse 2009-02-05
[4] 뉴스 La LCR se dissout pour donner naissance au NPA http://www.lemonde.f[...] Le Monde 2009-02-04
[5] 뉴스 La LCR se dissout aujourd’hui, le NPA naît demain http://www.liberatio[...] Libération 2009-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